탐방 기술 분야

반도체 산업의 밸류체인을 알아보자

초보항해사 2024. 10. 4. 11:16

 

 

반도체 산업의 밸류체인(가치사슬)은 여러 단계로 구성되며, 각 단계는 반도체의 설계, 생산, 테스트 및 최종 제품으로의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밸류체인은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:

1. 재료 공급(Material Supply)

  • 웨이퍼(Wafer): 실리콘 웨이퍼가 반도체 제조의 기본 재료입니다.
  • 화학물질 및 가스: 식각, 도핑, 세정 등 다양한 공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과 가스들이 필수적입니다.
  • 포토마스크(Photomask): 광학 리소그래피 공정에 사용되는 마스크로, 칩의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.

2. 장비 공급(Equipment Supply)

  • 노광 장비(Lithography):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새기는 장비로, EUV(Extreme Ultraviolet) 리소그래피 장비가 대표적입니다.
  • 식각 장비(Etching): 반도체 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를 식각하는 장비.
  • 증착 장비(Deposition): 다양한 소재를 웨이퍼 표면에 증착하는 장비입니다.
  • 검사 및 테스트 장비: 반도체가 설계된 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장비들.

3. 설계(Design)

  • 팹리스(Fabless) 회사: 반도체를 직접 생산하지 않고 설계만 하는 회사들로, 엔비디아(NVIDIA), 퀄컴(Qualcomm) 등이 대표적입니다.
  • EDA(Electronic Design Automation): 반도체 설계를 위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제공하는 기업들. 대표적으로 Cadence, Synopsys 등이 있습니다.

4. 웨이퍼 제조(Wafer Fabrication)

  • 파운드리(Foundry): 반도체를 실제로 생산하는 공정입니다. 팹리스 기업이 설계한 칩을 위탁받아 제조하는 기업들이 주로 해당됩니다. TSMC, 삼성전자 등이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입니다.
  • 반도체 제조 공정: 웨이퍼 위에 회로를 형성하는 리소그래피, 식각, 도핑 등의 복잡한 공정이 포함됩니다.

5. 패키징(Packaging)

  • 웨이퍼에서 제조된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, 외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입니다. 이 과정에서 반도체를 작은 패키지 안에 밀봉하고, 전기적 연결을 제공합니다.

6. 테스트 및 검사(Test and Verification)

  • 패키징된 반도체가 제대로 작동하는지, 결함이 없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. 다양한 전기적 테스트와 환경적 조건에서의 내구성 검사가 포함됩니다.

7. 유통 및 판매(Distribution and Sales)

  • IDM(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): 인텔, 삼성전자와 같이 설계부터 생산, 패키징, 유통까지 모두 담당하는 회사들이 포함됩니다.
  • 최종 고객: 반도체를 구매하여 스마트폰, 컴퓨터, 자동차 등의 완제품에 통합하는 기업들입니다.

8. 최종 제품 통합 및 소비자 사용(Final Product Integration and Consumer Use)

  • 완성된 반도체는 다양한 최종 제품에 사용됩니다. 스마트폰, PC, 서버, 자동차, IoT 기기, 의료 장비 등 여러 분야에 반도체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.
반응형